본문 바로가기
5sec-issue

경기도 공공배달 앱 '배달특급' 수수료 및 가맹점 정보

by ◆1 2020. 12. 2.

경기도 공공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배달 특급'이 1일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면서 민간 사업자 배달의 민족(배민), 요기 요, 쿠팡 이츠 등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에 배민 인수 조건으로 요기요 매각을 내걸면서 ‘배달 공룡’ 탄생이 주춤한 가운데, 배달 특급은 수수료 1%를 앞세워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목표입니다.

 

그러나 가맹자를 위해 매우 낮은 수수료를 책정함에 따라 수익 확보가 어려워져 정작 소비자 혜택을 제공할 여력이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   차

 

1. 민간 배달앱 대비 6~12% 낮은 수수료…배달특급 등장에 가맹점 '반색' 

2. 1% 수수료로 적자만 쌓인다…배달특급엔 가맹점만 있고 소비자는 없다? 


1. 민간 배달앱 대비 6~12% 낮은 수수료…배달특급 등장에 가맹점 '반색'

 

 

 



지난 1일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 특급’은 오산·화성·파주시에서 시범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경기도 주식회사는 올해 시범지역 3곳을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까지 용인·광주 등 27개 시군으로 대상지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허니 비즈, 먹깨비 등 공공 배달앱 관련 업체들과 내년 초까지 전국 단위 공공 배달앱 협의체를 구성해 독과점 체제에 대한 공동 대응에 나선다는 구상입니다.

 

 

 


배달 특급은 이재명 경기지사가 배달앱 시장에서 독과점을 없애고 공정 경쟁을 유도하겠다며 내놓은 대안이며 이는 배민, 요기요 등 기존 사업자의 높은 중개수수료로 부담이 큰 소상공인들을 돕겠다는 취지가 담겼습니다. 경기도는 경기도 주식회사에 홍보와 기획 등을 맡고, NHN 페이코를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 사업자가 앱 개발 등을 담당하는 민관 협력 방식으로 공공 배달앱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배달 특급의 최대 무기는 획기적인 1%의 중개수수료입니다. 최근 경기도 주식회사는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 배달앱이 되도록 부담을 더 낮추자”는 경제 노동위의 요구를 받아들여 기존 2%에서 1%로 더 낮췄습니다. 배달 특급의 광고료·중개 수수료는 기존 배달앱(6∼12%) 보다 훨씬 낮습니다. 때문에 소상공인들은 공공 배달앱의 시작을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이며 가맹도 순조로워 3개 지역에서 가맹점 수가 4500곳을 훌쩍 넘었습니다. 이는 목표치의 153%입니다.


2. 1% 수수료로 적자만 쌓인다…배달특급엔 가맹점만 있고 소비자는 없다?

 

 

 



업계에선 배달특급이 운영비 부족으로 자생력을 갖추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습니다. 유일한 수익원인 중개수수료를 1%로 책정하면서 가맹점과 운영 기간이 늘수록 적자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에서 입니다. 

 

 

 

 

이는 경기도주식회사 역시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경기도 주식회사는 애초 2%의 중개수수료를 받으려고 했으며 올해와 내년에 70여 억 원, 2022년 20여 억 원 등 최소 3년간 적자가 발생하지만, 결국 2023년에는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해서입니다.


그러나 중개수수료를 1%로 낮추면서 매년 80억∼90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사업 지역이 확대될수록 적자 폭이 비례해 서 커질 것이라는 게 경기도 주식회사 측 분석입니다. 예산도 빠듯한데 경기도의회는 지난 9월 추경예산안을 심의하면서 공공 배달앱 사업에 21억 원을 책정했습니다. 이는 경기도 주식회사의 요구보다 12억 감액된 규모입니다. 내년엔 128억 원을 책정했는데, 배달 특급이 정착하기엔 턱없이 모자란 금액이라는 평가입니다.

이 때문에 배달특급이 지역화폐 할인 외에 기존 사업자들에 대적할만한 차별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1% 수수료로 가맹점 부담은 줄겠지만, 그만큼 수익이 나지 않아 소비자 혜택을 챙길 여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실제 배민, 요기요 등 배달앱 업체들이 소비자들을 위한 할인·이벤트 등을 끊임없이 내놓는 것과 대비됩니다. 앞서 경기도 주식회사가 수수료 2%를 관철시키려고 한 것도 수수료 수익을 마케팅과 프로모션에 쓰기 위해서였습니다.

배달 특급이 원천적으로 소상공인 우선으로 설계됐다는 점을 되짚어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서울시의 '제로 페이'도 가맹점들의 높은 수수료율을 낮춰줄 목적으로 출시됐지만 결제액이 목표의 1%에도 못 미치며 실패했습니다. 이는 철저히 가맹점 위주로 앱을 운영해 소비자를 당길만한 혜택이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개 앱은 공급자보다 소비자를 우선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쓰는 사람이 없는 앱에 파는 사람이 모일 리 없다는 논리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 수익이 전부인데다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에 배달 특급이 어떻게 소비자 혜택을 제공할지가 성패의 관건"이라며 "배달앱 입장에서 소비자를 위해 돈을 안 쓸 수도 없고, 혹 쓴다 싶으면 혈세 낭비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테니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