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파트 매매값과 함께 전·월세 등 임대료까지 동반 상승하면서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다)로 집을 장만한 30대 젊은 세대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1월 들어 시세보다 떨어진 가격에 거래된 매물이 늘었다는 뉴스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과연 이들이 걱정할 정도의 대세하락이 시작된 걸까요? 

목  차

 

1. 영끌 내 집 마련 청년들, 깊은 한숨?

2. 같은 단지 층·향 따라 1억 차이 날 수도

3. 글을 맺으며

 


1. 영을 내 집 마련 청년들, 깊은 한숨?

 

 

 

 


지난해 30대의 ‘영끌’ 집 장만은 유행처럼 확산됐습니다. 한국 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거래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서울은 지난해 1~10월까지 30대 아파트 매수가 40대를 웃돌았고 경기도는 9월 매수세가 강했습니다.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매매 총액은 360조 8000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 중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은 282조 2000억 원으로 전체 주택유형의 약 78%에 해당합니다.

작년 신용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도 늘었습니다. 12월 말 기준 시중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133조 6000억 원을 기록했고 주택담보대출은 473조 7000억 원에 달합니다. 이에 주담대는 전년 대비해서는 4배 이상 늘었습니다.

‘영끌’로 아파트를 산 젊은 층이 늘면서 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올 초 서울서 거래된 아파트 중 절반은 직전 거래가보다 낮게 매매됐기 때문입니다.

서울 송파구 장지동 ‘위례 24단지 꿈에 그린’(전용 84㎡) 아파트는 작년 11월 26일 15억 5000만 원(5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들어 14억 5000만 원(3층·2일 실거래)에 팔렸습니다. 집값이 1억이나 뚝 떨어졌습니다.

연초부터 집값이 수천만 원에서 억대까지 떨어지자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무주택일 때는 미친 듯이 상승만 할 것 같아서 매수했더니 하락 전망이 나와 너무 걱정된다” “빚이 너무 많은 데 집값이 떨어지면 큰 일이다” 등의 글이 수두룩합니다.

2. 같은 단지 층·향 따라 1억 차이 날 수도

 

 

 



하지만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걱정할 상황이 아니라고 조언합니다. 같은 아파트 내에서도 동이 나 층·향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인 데다 일부 집값 하락을 대세하락으로 곧장 연결되긴 어렵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1월 거래물건 중 절반은 신고가 거래였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올해 거래된 서울 아파트 221건 중 102건이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30대들을 떨게 한 대표적 하락 거래 사례였던 ‘위례 24단지 꿈에 그린’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가 전고가 대비 1억 떨어진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비확장 매물인 데다 저층에 세입자가 거주하는 조건이었기 때문입니다.

단지 내 L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는 “지난 2일 14억 5000만 원에 거래된 매물은 베란다 확장을 안 했고 저층에 세를 끼고 있어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팔린 것”이라며 “현재 정상매물은 호가 17억 원짜리가 유일하게 남아있다”라고 했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신고일 기준으로 거래된 매물을 보면 절반은 신고가, 절반은 직전가보다 같거나 다소 하락한 것일 뿐 급매나 ‘신저가’는 아니다”며 “이번 통계를 하락 신호탄으로 보기는 어렵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거래량도 아직은 많지 않기 때문에 집값이 대세 하락이냐 상승이냐 하는 추세를 내가 보기에는 이르다”라고 했습니다.

함 랩장은 이어 “10억 원 이상 아파트는 같은 단지라 해도 층이나 향 등에 따라 집값이 1억 원가량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3. 글을 맺으며

 

 

 

 

 

저도 얼마 전에 아이들 학교 때문에 학교 근처로 이사를 하게 되었는데 기존에 살던 아파트가 1층이라 같은 동에 있는 다른 아파트들보다 저렴하게 내어놓았었습니다.

 

1층의 경우 보통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구입을 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팔리는 데는 문제가 없었는데 저는 또 1층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영 끌로 아파트를 사게 된 배경에는 서울에서 시작된 아파트 가격 폭등이 지방으로 내려와 전국적으로 아파트 가격 폭등으로 이어지면서 불안감을 느낀 젊은 세대들이 과도한 빚을 내어 아파트를 구매하면서입니다.

 

이는 정부의 그릇된 부동산 정책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이던 부동산이던 투자의 책임은 개인이 져야 하기에 항상 신중하게 빚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