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sec-issue2127 국내 첫 코로나 재감염 사례에 코로나 백신 접송 횟수는 2회 예상! 국내에서 처음으로 코로나 19를 완치했다가 다시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나왔는데 이는 확진자가 격리에서 해제된 이후에 또다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입니다. 재감염이 맞다면 한 번 치유됐어도 안심할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치료제나 백신은 효과가 있는 건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 것일까요? 목 차 1. 코로나19 재감염 국내 첫 사례 2. 코로나19 재감염 해외사례 3. 코로나19 백신 접종 횟수는 2회 이상 4.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안정성 확인 후 진행 예정 5. 렘데시비르 현황 6. 글을 마치며 1. 코로나19 재감염 국내 첫 사례 이번에 코로나19 재 확진 확진자는 20대 여성이며 지난 3월 확진돼 치료를 받고 격리 해제를 했지만, 4월 초 다시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두 번 모두.. 2020. 9. 20. 라면형제, 인천 초등학생 형제 화재 참변 ! 지난 14일에 발생한 인천의 한 초등학교 4학년, 2학년 형제의 화재사고 소식을 알고 계신가요? 큰아들이 ADHD를 앓고 있어서 피해아동 어머니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살았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그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면서 아이들을 방치해 놓았던 것 같습니다. 그럼 왜 이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목 차 1. 지자체는 왜 방치하고 있었나? 2. 라면형제 화재 배경 3. 화재 당시 부모는 어디에? 4. 장시간 자녀 방치가 방임죄에 해당되나? 5. 3차례 방임으로 경찰에 신고되기도. 6. 글을 마치며 1. 지자체는 왜 방치하고 있었나? 부모가 없는 집에서 일어난 불로 중상을 입은 초등학생 형제의 엄마가 화재 전날부터 집을 비운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그에 대한.. 2020. 9. 18. 2020년 무료 독감예방접종 시기와 논란정리! 정치권에서 ‘독감백신 무료 접종 확대’ 논란이 한창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재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발열 등 증상이 비슷한 독감까지 유행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트윈데믹’ 상황에 처할 수 있어 독감백신 접종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정부가 확보한 3,000만 명 분 독감백신에 2,000만 명 분을 더해 전 국민에게 백신을 접종하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방역당국과 의료계는 3,000만 명 분 자체가 평년에 비해 20%가량 늘린 것이며 현실적으로 추가 백신 조달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 관리체계에도 어긋나는 대응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논란의 핵심은 추가 2,000만명 분 독감백신 확보가 가능하냐는 문제입니다. 목 차 1. 독감백신 .. 2020. 9. 17. 2차 긴급 재난지원금 완벽정리! 정부가 4차 추가경정예산에 편성된 '긴급 피해지원 패키지 사업'의 구체적인 지급 계획을 담은 있는 '집행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가이드라인에는 2차 긴급 고용안정 지원금, 소상공 인새 희망자금, 위기가구 긴급 생계지원, 아동 특별 돌봄 지원, 이동통신요금 지원사업과 관련해 지급 대상과 지급 일정 등이 명시됐습니다. 이번 긴급 피해지원 패키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됐던 1차 긴급재난지원금과 달리 코로나 19로 직접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취약 계층 등에 대한 '선별 지원'을 골자로 하고 있어 각 사업별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 지급 방식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부가 15일 발표한 '집행 가이드라인'에 따라 각 사업별 지원 대상과 신청 계획 등을 문답 형식으로 정리했습니다. 목 차 1. 각 .. 2020. 9. 16. 이전 1 ··· 526 527 528 529 530 531 5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