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빼곤 집값도 주식도 다 올랐어요. 노동가치가 떨어지는 거 같아 회사 일보다 주식 투자에 집중하게 돼요”
20대 회사원인 김민아(29) 씨 얘기입니다. 그는 지난해 마이너스통장을 만들고 모아둔 돈까지 합쳐 8000만 원을 주식에 투자해 1년여 사이 2400만 원(30%)의 수익을 손에 쥐었습니다. 그는 “투자로 돈을 벌어보니 예전만큼 업무에 몰두하기 어렵다”며 “요즘은 주식뿐 아니라 미국 국채를 비롯해 금·곡물 등 원자재 시장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목 차
1. 월급빼고 다 올라... 2030 세대 주식, 부동산으로 눈 돌려
3. 과도한 빚투, 증시 조정 때에는 큰 타격 올 수 있어
1. 월급 빼고 다 올라... 2030 세대 주식, 부동산으로 눈 돌려
월급보다 주식·부동산 같은 자산소득으로 눈을 돌리는 20·30세대가 늘고 있습니다. 자산 가격은 급등하는 데 예·적금 등으로 월급만 모아선 부(富)를 쌓을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어서입니다. 하지만 이는 근거 없는 생각이 아닙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소득 대비 서울 집값 비율(PIR)은 15.6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서울 사는 중위소득(소득순으로 중간 가구의 소득) 가구가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5년 이상 모아야 주택을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근로소득은 거북이걸음이 입니다. 심지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여파로 줄어들기까지 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347만 7000원(통계청)으로 1년 전(351만 5000원)보다 1.1% 감소했습니다.
특히 세대별 소득 증가율을 보면 20·30세대의 고민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철승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가 쓴 『불평등의 세대』에 따르면 1960년대 후반 출생 세대의 소득은 90년대 초반 대비 2000년대 후반까지 53% 상승했습니다. 70년대 후반에 태어난 이들의 소득은 2000년대 초반 대비 2010년대 후반까지 26%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80년대 후반에 출생한 이들의 경우 2010년대 초반에서 후반에 이르는 시기에 소득이 7.6%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2. 불안 안 미래에 젊은 층 주식시장으로 눈 돌려
근로소득은 찔끔 오르고 집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젊은 층이 눈을 돌리는 곳이 주식시장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키움증권에서 20·30세대가 새로 만든 증권 계좌는 117만 개로 전년(25만 개)보다 5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회사원 손관주(28) 씨는 월급의 70~80%는 증권계좌에 넣는다. 손 씨는 “평생직장이란 건 없고 월급도 오르지 않아 항상 불안하다”며 “우선은 월급 이외에 주식으로 매달 50만 원씩 월세 낼만큼 버는 게 목표가 됐다”라고 말했습니다.
외국계 회사에 다니는 양모(30) 씨는 이른바 ‘임포자(임원을 포기한 사람)’입니다. 그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해 집 산 친구들과 자산 격차가 벌어지니 마음이 급해져 승진 등을 신경 쓸 여력이 없다”라고 토로했습니다. 그가 빨리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으로 찾은 게 주식 투자이며 지난해부터 주식과 펀드로 2000만 원을 굴리고 여기에 매달 월급의 40%를 떼서 주식을 추가로 사들이고 있습니다.
‘임포자’를 넘어 조기 은퇴를 꿈꾸는 ‘파이어(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족’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경제적 자립을 통해 늦어도 40대 초반에 은퇴하는 게 목표인 사람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국의 젊은 고학력·고소득 계층을 중심으로 퍼졌습니다. 이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저축’으로 은퇴 자금을 마련하려 했다면 한국의 파이어족은 주식투자로 은퇴 자금을 만드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헤어디자이너인 최모(30) 씨는 10년 안에 4억 원을 모아서 은퇴하는 게 목표입니다. 이후 매달 200만 원가량 생활비가 나올 수 있도록 연 5~6% 이상의 고배당주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한 은퇴자금도 주식 투자로 모으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매달 수입의 75%를 증권 계좌에 붓고, 값싸고(저평가)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 위주로 투자했습니다. 4년 사이 전체 운용자금은 1억 원으로 불어났습니다. 그는 “딱 40살까지만 고생하고 이후에는 번 돈으로 유능한 경영진이 운영하는 기업에 투자하면서 살고 싶다”라고 말했습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요즘 20·30세대가 근로소득보다 자산소득을 좇는 것은 사회 구조적인 현상”이라며 “집 살 기회조차 잃었다는 박탈감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맞물려 주식 투자를 ‘마지막 돈 벌 기회’로 여기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3. 과도한 빚투, 증시 조정 때에는 큰 타격 올 수 있어
과도한 투자 열기에 ‘빚투(빚내서 투자)’하는 젊은 층도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30세 미만이 증권사에 빌린 돈(신용융자 잔고)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4200억 원으로 2019년 말(1600억 원) 대비 162.5% 급등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의 평균 증가율(89.1%)을 훌쩍 뛰어넘습니다. 이들의 빚투 행렬에는 ‘빚내서 투자하지 않으면 뒤처진다’는 불안감과 조바심이 깔려있습니다. 회사원 편모(30) 씨는 “올 초에 신용대출로 빌린 3400만 원 중 절반을 떼서 주식을 샀다”며 “처음엔 망설였는데 친구들이 ‘아직도 빚 안 냈냐’는 반응에 큰마음먹고 결정했다”라고 했습니다.
이와 관련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주식시장 중심으로 대출받아 주식 사는 투자자가 늘고 있다”며 “증시가 크게 조정받으면 자산기반이 취약한 젊은 층의 타격이 클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4. 글을 맺으며
저도 요즘 주식을 해야 하나?라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물론 과도하게 대출을 내어서 하는 투자가 아니라 잃어도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정도의 금액으로 해볼까 하는 생각이 자주 들더라고요.
저도 현재 직장 월급이 그리 많지 않고 미래에 대한 불안한 심리가 깔려 있지만 선뜻 주식에 올인하지 못하는 것이 코스피와 코스닥이 현재 많이 올라 있기에 언제든지 조정이 올 수 있는 상황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증시 조정에 따른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기에 조금 더 지켜보고 들어가려고 생각 중인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5sec-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 설 명절에 5인 이상 가족모임 과태료...단속은 어떻게 하나? (0) | 2021.02.01 |
---|---|
'억대 연봉 부러우면 입사해' KBS 직원이 올린 글에 소비자들 분통 (0) | 2021.02.01 |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방법 및 사용처 정보(feat.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가짜 사이트 조심) (1) | 2021.02.01 |
음주운전에 숨진 대만 유학생...28세 꽃다운 생의 마지막 될 줄이야 (0) | 2021.01.30 |
조국 딸·아들 입시 자료 모두 허위 판결(feat.입시 공정성 도마에 올라) (0) | 2021.01.29 |